국내총생산이라는 의미를 GDP ( Gross Domestic Product )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GDP 개념
GDP는 당해연도 및 기준연도 중 어느 해의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생산액을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명목 GDP , 실질 GDP로 구분이 된다. 명목 GDP는 생산액을 당해연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물가상승분에 대해서만 반영이 된 것이고 실질 GDP는 생산량에 기준연도의 시장가격을 곱해서 계산하므로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도만을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GDP 디테일
경제성장률이란 일정기간 동안 각 경제활동 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보기 위한 지표로서 한 나라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실질 GDP의 증감률로 나타낸다.
현재 GDP 통계는 UN이 각국에 권고한 국제기준인 국민계정체계 (SNA : System of National Acoounts)에 따라 한국은행에 의해 작성되어 분기별로 공표되고 있다.
'경제'라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단어에 대한 이해가 되었다면 그때부터는 사고팔고 하는 것에 대한 흐름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여기에서부터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GDP인 만큼 GDP라는 것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경제의 흐름을 잡아가는 것에 중요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